EV/EVLOG

2023 전기차 충전인프라 산업전 관람평 + 킨텍스 급속충전소 리뷰

어데이씨고 2023. 2. 20. 19:45
반응형

주말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던 전기차 충전인프라 산업전에 다녀왔다.
건축박람회와 함께 동시 개최되어 사람도 많고 다른 산업분야 볼거리도 많았다.
물론 내 관심사는 전기차 충전기이기 때문에 전기차 충전인프라 산업전만 보고 나왔다.

주차장에 들어가려는 차들이 많아 주차장 진입까지 조금 기다렸으나 필자는 전기차 충전을 해야했기에 주차장 변두리쪽에 위치한 전기차 충전소쪽으로 빠져서 빠르게 주차할 수 있었다. 킨텍스 1전시장에 주차장에 급속충전기가 무려 10대가 한곳에 설치되어있었다. 독립형 급속충전기가 아닌 분산형 급속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었고, 과거 테슬라 카페에서 분산형 충전기를 사용하다가 과전압으로 인해 파이로퓨즈가 끊어지는 이슈가 있어서 충전을 할까 말까 고민하다가 그냥 충전을 했다.

아래 기사를 보니 킨텍스에는 2020년 2월에 설치했다고 나온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17

킨텍스 ‘기존 2배 초급속’ 전기차 충전소 오픈 - 고양신문

지능형 전력배분 충전효율 극대화 친환경 스마트전시장 인프라 구축 한시적으로 무료이용 서비스 제공 [고양신문] 국내 최대 전시장인 킨텍스(대표이사 임창열)가 전시장 관람객과 일반시민이

www.mygoyang.com


기사에는 100kW급 충전기라던데 내가 충전해보니 차량측에서 받는건 50kW급 속도가 나오더라.
보통 100kW급 충전기에 충전하면 68~76kW로 충전이 되고, 50kW급 충전기에 물리면 34~45kW 로 충전이 되는데
차량 배터리도 30%정도 있던 상태였고 주변의 충전기가 충전중도 아니었는데도 불구하고 34kW로 충전이 되는것을 보면 실제로는 독립형 50kW급으로 운영되는 것 같다. 아마도 키오스크 뒤편 컨테이너박스쪽에 있을 파워모듈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분산형 키오스크와 매핑되어 사용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시그넷 급속충전기와 충전건 거치대


그냥 평소였다면 충전해놓고 사진을 안찍었을 수도 있는데, 전기차 충전기 박람회를 와서 전기차 충전을 하면서 겪는 불편함은 지나칠 수 없었다. 앞전에 누군가 충전기를 사용하고 충전건을 거치대에 놓고 거치대 덮게를 닫지 않고 갔었나 보다.

충전건이 거치대(커넥터박스)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기 UI에는 "커넥터를 커넥터박스에 원위치시켜주세요" 라고 나오면서 충전을 진행할 수가 없었다. 커넥터 박스 내 센서가 망가진 것인지 충전이 진행되지 않았는데, 결국 다른 키오스크 앞으로 자리를 옮겨 충전을 진행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센서고장으로 인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이며 이후의 충전을 아예 하지 못하게 하는 UI는 수정이 되었으면 좋겠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불편하지만 충전사업자 입장에서도 그만큼 충전을 공급하지 못해 생기는 손해도 있으니깐.....

PS. 급속충전기 앞 충전을 위한 자리는 주차자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급속충전이 불가능한 벤츠 하이브리드 차량도 주차를 해두고, 니로 전기차(구형)은 충전도 하지않으면서 주차를 하고 갔더라.

어쨋든 충전을 꼽아두고 박람회 관람을 다녀왔다.
전기차 충전 산업전 부스만 돌아보고 나오니 40분 충전컷에 딱 걸렸다. 40분만에 다 볼정도로 충전 산업전 부스 규모는 기대했던것 보다 너무 작아 실망스러웠다. 더 볼거리가 있어 40분 충전컷에 걸리면 이동주차 하고 다시 들어가서 보려 했지만 그럴 필요가 없었다.



이제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2023 전기차 충전 산업전 참가업체 관람평을 써보고자 한다.

BA 에너지

1. BA 에너지
전기차 충전 산업전 부스 중 두번째로 컸던 부스였다. 일요일날 가서 그런지, 안내해주는 직원이 없었고, 장비만 덩그러니 있었다. 전시장에 설치된 제품은 아마도 ESS 연계형 급속충전기이지 않을까 싶다.

클린일렉스

2. 클린일렉스
전기차 충전 산업전 부스 중 가장 컸던 부스였다. 부스 규모에 비해 볼거리가 없어서 아쉬웠다.

크로커스

3. 크로커스
처음 본 업체인데, 벌써 자체개발한 50kW, 100kW 급속충전기를 전시회에 가지고 나왔다. 응대해주시는 직원분이 정말 너무나도 잘 설명해주셔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충전기 외함 디자인이 50kW, 100kW 구분 없이 동일했으며 용량에 따라 앞뒤 두께가 다른 구조였다. 50kW는 앞뒤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파워모듈 2개를 세워서 꽂는 형식, 100kW는 파워모듈 4개를 서랍형으로 꽂는 형식이다. 이제까지 접해왔던 급속충전기 중 뭔가 가장 편안한 디자인의 독립형 급속충전기라고 생각된다.

테슬라

4. 테슬라
테슬라는 왜 전시회에 참여했는지 모르겠다. 아직까지 테슬라는 타 브랜드에 충전인프라를 오픈하지 않았다.
강남에 DC콤보 커넥터를 갖는 슈퍼차저가 오픈된다고 하던데 오픈되었나??
http://www.carguy.kr/news/articleView.html?idxno=45069

9조6천억에 몸 낮춘다..테슬라 수퍼차저 조만간 공개 수순 - 카가이

테슬라가 아닌 다른 제조사의 전기차 운전자도 올해 테슬라 전용 충전소인 '수퍼차저'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최근 로이터 통신은 \"미국 교통부가 테슬라 수퍼차저에 경쟁사의 충전 ...

www.carguy.kr

기사를 찾아보니 대치동 KT&G 주차장에 설치된 슈퍼차저를 타 브랜드 차종도 충전이 가능하게끔 오픈한다고 한다. 이미 대치동에 슈퍼차저저는 테슬라만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오픈을 했으며 2023년 12월까지 non-tesla 차량도 이용이 가능하게끔 오픈한다는 것인데, 테슬라 차량들에게는 차량에 연결된 계정의 결제수단을 통해 요금을 부과했으나 타 브랜드 차량들의 충전요금 부과를 위한 별도 UI장치가 설치되야할 것이며, 2023년 12월까지 UI장치 개발 및 테스트를 하고 오픈하겠다는 얘기같다.
테슬라를 타는 입장에서 현재 국내 모든 충전기(충전소)는 테슬라의 슈퍼차저와 비교할 수 있는 급속충전기(충전소)는 결코 없을것이라 장담한다. 만약 내가 테슬라가 아닌 타 브랜드의 전기차를 탔으면 장거리 여행시 급속충전을 어떻게 하며 다녔을까.. 그정도로 현재 국내 충전기 시장에서 우위에 있는 테슬라가 뭐가 아쉬워서 국내 박람회에 나왔는지 의문이 들었다.

한국환경공단 & 대영채비 충전기

5.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공단 부스에는 대영채비 급속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국내에서는 가장 미래지향적이며 아름다운 디자인을 가진 급속충전기이지 않을까 싶다. 충전기 내부가 참 궁금하다.

BorgWarner

6. BorgWarner

WIP

7. WIP
전기차 무선충전기 단일 상품만 전시한 WIP사의 부스다. 휴대폰 무선충전은 상용화 되었으나 전기차 차량의 무선충전은 정말로 상용화 될까? 차량 충전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유해성은 어떻게 극복할 것이며 무선충전을 위해 차량에 부착되는 코일과 장비의 무게로 인한 효율성 저하는 어떻게 극복할까? 차량 바닥에 깔리는 코일과 장비의 공간만큼 배터리가 덜 들어갈텐데.. 또 발열은 어떻게 할까.. 궁금했던 내용이 많았는데해당 부스에 응대하는 직원이 없어 못물어보고 왔다. 현대에서 제네시스에 gv60차량에 11kw까지 충전을 지원하는 무선충전 옵션을 끼워서 팔긴 했지만 아직 시장에 무선충전기가 설치되지 않는 이유는 분명히 있을것이다.

KOOLSIGN - KOOL CHARGER 40kW

8. KOOL CHARGER
쿨사인(KOOLSIGN)사에서 전기차충전기 사업에 진출했다고 한다. 본래 디지털사이니지가 본업인 회사라서 그런지 다른 충전기 회사보다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내부 UI 디자인이 확실히 우수했다. 또 40kW 중속 충전기를 실제로 처음 보는 자리이기도 했다. 충전사업자보다는 충전기제조로만 비즈니스모델을 갖고있다고 한다.

블루네트웍스 7kW

9. 블루네트웍스
굉장히 작은 7kW 충전기가 있어 신기해서 사진을 찍었다. 외부에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장치가 없는것을 봐서는 비공용 완속충전기가 아닐까 싶다.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공공급속충전시설 관제시스템

10.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부스에는 실시간으로 전국 공공급속충전시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관제시스템을 전시해두었다. 전국의 공공 급속충전기는 대영채비가 3940대, 시그넷이 2491대, 중앙제어가 386대, 클린일렉스가 298대 설치했다고 나온다. 대영채비 급속충전기가 엄청 많구나.. 시그넷도 어마어마하고....

가운데 나오는 충전시설 가동률이 98.4%라는 수치가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해서 해당 부스 직원분께 여쭤봤다.

가동률 = 충전가능한 충전기 수 / 설치된 충전기 수 * 100
라고 설명해주셨고, 98.4%라는 수치는 1달 평균이라고 한다. 설명해주신대로라면 충전에 사용될수 있는 충전기의 비율인데 가동률보다는 가용률이 좀 더 맞는 표현이 아닌가 싶었다.
내 생각엔 가동률은 현재 충전에 사용중인 충전기 수 / 설치된 충전기 수 * 100 으로 계산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어쨋든 설치된 충전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대시보드를 만들어 보여주는것이 아주 흥미로웠다.


이상 2023 전기차 충전인프라 산업전 관람평을 마친다.

반응형